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일본어
- 근접센서
- 일본 생활단어
- 일본어 기초
- 일본어 왕기초
- 일어 접속사
- 굿노트 디자인
- PLC메뉴얼
- 굿노트 속지 무료
- 배선용차단기
- ls산전 차단기
- PLC manual
- 일본어 접속사
- 차단기
- 일어 기초 단어
- XGT
- ls산전 plc
- 굿노트 속지 공유
- 장기투자
- 굿노트 속지 나눔
- LS산전
- 굿노트 속지
- dc센서
- 포토센서
- PLC
- 미쓰비시 plc
- 굿노트 속지 무료나눔
- 굿노트
- 굿노트 무료 공유
- PLC 메뉴얼
- Today
- Total
Dog Lover
⚙️[미쓰비시] 인버터700 시리즈 정리 및 메뉴얼 공유 본문
미쓰비시 인버터 700 시리즈 완전 정복! – PLC 통신부터 운전 모드, 파라미터 설정까지
미쓰비시 인버터 700 시리즈는 산업 자동화에서 매우 널리 사용되는 고성능 인버터로, 시리얼 통신을 통해 PLC와 연동하여 제어가 가능하며, 다양한 운전 모드와 유연한 파라미터 설정을 지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버터 700 시리즈의 핵심적인 통신 사양과 설정 방법을 하나하나 짚어보며, 실제 블로그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 인버터 700 시리즈의 PLC 통신 사양 이해하기
PLC와 인버터 간 통신은 공장 자동화 시스템의 심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쓰비시 QPLC와 인버터 700 시리즈는 RS-485 방식의 시리얼 통신을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됩니다.
✅ 기본 통신 사양
항목 | 사양 |
---|---|
통신 프로토콜 | 미쓰비시 프로토콜(계산기 링크) 또는 Modbus-RTU |
전송 방식 | 반이중 통신 (RS-485 기반) |
통신 속도 | 4800 / 9600 / 19200 / 38400bps |
접속대수 | 1:N (최대 32대) |
문자 형식 | ASCII 7bit 또는 8bit |
스톱 비트 | 1bit / 2bit 설정 가능 |
패리티 체크 | 없음 / 홀수 / 짝수 |
에러 체크 방식 | 섬 코드 체크 |
종료 코드 | CR, LF (선택 가능) |
실제로 PLC는 QJ71C24N 또는 QJ71C24N-R4 같은 시리얼 통신 모듈을 통해 인버터와 연결되며, 이때 각 통신 매개변수는 반드시 일치시켜야 원활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합니다.
🔁 인버터 700의 조작 방식과 다양한 운전 모드 알아보기
인버터를 제대로 제어하려면 조작 모드에 대한 이해가 필수입니다. 700 시리즈는 세 가지 주요 운전 모드를 지원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 혹은 외부 장치에서 제어가 가능합니다.
💡 운전 모드별 기능 설명
모드 | 설명 |
---|---|
PU 모드 | 인버터의 자체 조작 패널을 통한 운전 |
EXT 모드 | 외부 스위치나 단자대를 이용한 운전 |
NET 모드 | 통신으로부터 제어 지령을 받아 운전 |
이 세 가지 운전 모드는 상황에 따라 전환이 필요하며, 초기 설정 상태에서는 PU에서 EXT만 전환 가능하므로, NET 모드 운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파라미터를 수정해야 합니다.
🔧 인버터 700 시리즈의 파라미터 설정 방법 자세히 알아보기
인버터의 설정은 조작 패널을 이용한 파라미터 입력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운전 모드를 NET으로 변경하려면 다음의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 파라미터 설정 순서
- PU 모드로 전환 인버터 조작 패널을 통해 PU 모드로 진입합니다.
- Pr.79 / Pr.340 설정
- Pr.79: 기본 운전 모드 (초기값 0)
- Pr.340: 통신 시작 모드
- 0: Pr.79에 따름
- 1: 통신 전용 모드
- 10: PU + 통신 모드 전환 가능
→ 일반적으로 10으로 설정하여 PU와 통신 병행 가능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설정 저장 및 전원 OFF → ON 재부팅
이 과정을 통해 NET 모드 진입이 가능해지며, 통신 제어가 활성화됩니다.
📡 인버터 700 통신 파라미터 세부 구성 정리
통신 안정성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확인해야 할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라미터 번호 | 기능 | 설정값 예시 |
---|---|---|
Pr.117 | 통신 국번 | 1 |
Pr.118 | 통신 속도 | 192 (→ 19200bps) |
Pr.119 | 스톱 비트 | 1 (→ 2bit) |
Pr.120 | 패리티 체크 | 2 (→ 짝수 패리티) |
Pr.123 | 대기 시간 | 9999 (통신에 따라 자동 설정) |
Pr.124 | CR/LF 선택 | 2 (CR + LF 설정) |
Pr.549 | 프로토콜 선택 | 0 (계산기 링크), 1 (Modbus) |
이외에도 통신 에러 발생 시 트립 조건을 설정하는 Pr.502, 통신 리트라이 횟수 Pr.121, 교신 체크 간격 Pr.122도 함께 조정해야 통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실습 예시로 알아보는 설정 구성
실제로 PLC와 인버터를 연결하여 시리얼 통신을 구현하려면 다음의 구성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 PLC: Q03UDVCPU, QJ71C24N
- 인버터: FR-E700 시리즈
- 배선: UTP 케이블(RJ45), 표준 LAN 케이블
🔧 배선 방식
RJ45 핀 번호 | 명칭 | 배선 대상 |
---|---|---|
③번 (RDA) | 수신 + | SDA (QJ71C24N) |
④번 (SDB) | 송신 - | RDB (QJ71C24N) |
⑤번 (SDA) | 송신 + | RDA (QJ71C24N) |
⑥번 (RDB) | 수신 - | SDB (QJ71C24N) |
이와 같은 배선을 통해 데이터 신호가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으며, 반대로 배선이 잘못될 경우 통신 에러나 트립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통신 패킷 구조와 프로그램 작성 요령
PLC에서 인버터의 주파수를 읽기 위한 기본적인 프로그램 작성은 다음과 같은 흐름을 따릅니다:
- D8: 인버터 국번 설정
- D9: 어드레스 (예: 40201 – 40001 = 200)
- D10: 읽을 데이터 수
- D102: 프로토콜 번호 (계산기 링크=2)
이후 PLC 프로그램에서 M4와 M10 신호를 통해 트리거를 주면, D13에 실제 주파수 데이터가 들어오며 단위는 0.01Hz로 해석하면 됩니다.
📝 마무리
인버터 700 시리즈는 단순한 장비가 아닌, 복잡한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제어기기입니다. 시리얼 통신 설정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나, 각 파라미터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정 순서를 숙지하면 누구나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합니다.
지속적으로 PLC와 인버터 간의 통신을 다루다 보면 어느새 전문가 수준의 설정이 자연스러워질 것입니다.
미쓰비시 MITSUBISHI 인버터700시리즈 메뉴얼 다운로드
'P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C 고속카운터 XGF-HO8A 정보 및 메뉴얼 공유 [LS산전] (1) | 2025.05.23 |
---|---|
[LS산전]XGT PANEL iXP2 시리즈 가이드 및 메뉴얼 공유 (1) | 2025.05.22 |
[LS산전] iS7 인버터 사양, 사용 방법, 에러 코드 안내 및 메뉴얼 공유 (2) | 2025.05.21 |
✅[LS산전]LSLV-G100인버터 사양, 사용법, 에러코드, 메뉴얼 공유 (4) | 2025.05.20 |
💡[LS산전]XGL 시리즈 가이드 및 메뉴얼 공유 - 정의, 사용법부터 에러코드 알아보기 (0) | 2025.05.16 |